-
1946. 5. 15. 국립 부산대학교 창립
-
1953. 8. 17. 1954년부터 대학원 개설 인가
-
1953. 10. 15. 제1회 대학원 신입생 선발고사(21명 선발)
-
1954. 4. 1. 석사과정 국어국문학과, 영어영문학과, 사학과, 철학과, 교육학과, 정치학과, 경제학과, 수학과, 물리학과, 화학과, 생물학과, 지리학과, 지질학과, 가정학과, 법률학과, 행정학과, 사학과, 무역학과 개설(18개 학과, 정원 62명)
-
1956. 3. 25. 제1회 석사학위과정 수료
-
1957. 3. 25. 제1회 석사학위 수여(13명)
-
1958. 4. 1. 석사과정 건축공학과, 화학공학과, 약학과, 의학과 신설(22개 학과, 정원 96명)
-
1958. 11. 12. 박사과정 개설인가(학과와 정원이 석사과정과 동일하나 사학과, 철학과, 법률학과, 삭학과만 개설함
-
1959. 2. 18. 최초 명예박사학위 수여(양유찬)
-
1961. 9. 29. 대학정비령에 의해 일부 학과 폐과되고, 수산대학 병합됨
석사과정 사학과, 철학과, 교육학과, 정치학과, 경제학과, 수학과, 물리학과, 지리학과, 지질학과, 법률학과, 행정학과 폐과
토목공학과, 기계공학과, 섬유공학과, 수산물리학과, 수산화학과, 수산생물학과, 수산공학과, 수산경영학과 신설(19개 학과, 정원 125명)
박사과정 학과 및 정원 조정, 국어국문학과, 영어영문학과, 화학과, 생물학과, 가정학과, 상학과, 무역학과, 건축공학과, 화학공학과, 의학과 약학과, 수산물리학과, 수산생물학과, 수산경영학과(14개 학과, 정원 34명) -
1963. 9. 7. 제1회 박사학위 수여(3명)
-
1964. 3. 1. 석사과정 수산물리학과, 수산화학과, 수산생물학과, 수산공학과, 수산경영학과 폐과[수산대학 분리]. 사학과, 철학과, 수학과, 물리학과, 법학과, 행정학과, 경제학과 복과, 조선공학과 신설. 정원조정(22개 학과, 정원 122명)
박사과정 수산물리학과, 수산생물학과, 수산경영학과 폐과[수산대학 분리]. 법학과, 행정학과, 경제학과 신설. 정원조정(14개 학과, 정원 33명) -
1966. 3. 1. 석사과정 지질학과, 정치학과 복과. 경영학과, 전기공학과 신설(26개 학과, 정원 143명)
박사과정 토목공학과, 기계공학과, 섬유공학과, 조선공학과 신설(18개 학과, 정원 47명) -
1969. 3. 1. 경영대학원 신설
-
1971. 3. 1. 석사과정 금속공학과, 요업공학과 신설(28개 학과, 정원 155명)
-
1972. 3. 1. 석사과정 전자공학과 신설(29개 학과, 정원 161명)
-
1972. 7. 29. 행정대학원 신설
-
1973. 3. 1. 석사과정 제약학과 신설. 상학과 폐과(29개 학과, 정원 266명)
박사과정 사학과, 수학고, 물리학과, 지질학과, 전기공학과, 경영학과 신설. 상학과 폐과(23개 학과, 정원 107명) -
1974. 3. 1. 석사과정 의학과 40명이 50명으로 증원(29개 학과, 정원 276명)
박사과정 의학과 25명이 35명으로 증원(23개 학과, 정원 117명) -
1975. 3. 1. 석사과정 영어영문학과 4명이 6명으로, 가정학과 6명이 10명으로, 토목공학과 6명이 10명으로, 법학과 4명이 6명으로, 의학과 50명이 60명으로 증원(29개 학과, 정원 296명)
박사과정 금속공학과 3명 및 정치학과 3명을 각각 신설, 의학과 35명이 40명으로 증원(25개 학과, 정원 128명) -
1975. 3. 10. 교육대학원 신설
-
1976. 3. 1. 석사과정 사회사업학과 정원 6명으로 신설(30개 학과, 정원 302명)
박사과정 화학과 4명이 6명으로, 의학과 40명이 45명으로 증원(23개학과, 정원 135명) -
1977. 3. 1. 석사과정 간호학과 신설. 계열별 정원 인가(5계열 31개학과, 정원 324명)
[인문계열 28명, 사회계열 54명, 이학계열 69명, 공학계열 93명, 의학계열 80명]
박사과정 계열별 정원 인가(5계열 25개 학과, 정원 135명)
[인문계열 8명, 사회계열 24명, 이학계열 25명, 공학계열 33명, 의학계열 45명] -
1978. 3. 1. 석사과정 교육학과, 가정관리학과, 식품영양학과, 의류학과 신설. 가정학과 폐과(5계열 34개 학과, 정원 370명)
[인문계열 40명, 사회계열 60명, 이학계열 89명, 공학계열 101명, 의학계열 80명]
박사과정 철학과 신설(5계열 26개 학과, 정원 159명)
[인문계열 23명, 사회계열 24명, 이학계열 25명, 공학계열 33명, 의학계열 54명] -
1979. 3. 1. 석사과정 인문계열 40명, 사회계열 80명, 이학계열 110명, 공학계열 200명, 의학계열 100명으로 증원(34개 학과, 정원 530명)
박사과정 인문계열 23명, 사회계열 24명, 이학계열 35명, 공학계열 46명, 의학계열 60명으로 증원(정원 188명) -
1980. 3. 1. 석사과정 정치학과가 정치외교학과로, 사회사업학과가 사회복지학과로 변경
인문계열 60명, 사회계열 110명, 이학계열 160명, 공학계열 250명, 의학계열 140명으로 증원(5계열 34개 학과, 정원 720명)
박사과정 정치학과가 정치외교학과로 변경
인문계열 36명, 사회계열 36명, 이학계열 48명, 공학계열 60명, 의학계열 75명으로 증원(5계열 26개 학과, 정원 255명) -
1981. 3. 1. 석사과정 독어독문학과, 불어불문학과, 사회학과 신설(5계열 37개 학과, 정원 770명)
[인문계열 70명, 사회계열 130명, 이학계열 180명, 공학계열 250명, 의학계열 140명]
박사과정 교육학과, 식품영양학과, 제약학과 신설(5계열 29개 학과, 정원 285명)
[인문계열 42명, 사회계열 42명, 이학계열 54명, 공학계열 60명, 의학계열 87명] -
1981. 11. 21. 산업대학원 신설
-
1982. 3. 1. 석사과정 지구과학과, 고분자공학과, 체육학과, 음악학과, 미술학과 신설. 요업공학과 → 무기재료공학과 명칭변경(7계열 42개 학과, 정원 920명)
박사과정 사회복지학과 신설(5계열 30개 학과, 정원 345명)
학생정원이 학위과정별 및 계열별 병원에서 학위과정별 총정원제로 됨.
행정대학원의 행정학과에 복지행정학, 정책학 전공을 신설, 도시개발학과(도시계획학, 부동산학 전공) 신설
(환경대학원)석사과정 6개 전공 신설
(기계공학전공, 전기공학전공, 화학공학전공, 재료공학전공, 건설공학전공, 환경학전공) -
1983. 3. 1. 석사과정 미생물학과 신설(43개 학과, 정원 970명)
박사과정 사회학과, 무기재료공학과, 고분자공학과 신설(33개학과, 정원 375명) -
1983. 11. 7. 석사과정 (환경대학원)고분자공학전공, 조선학전공, 전산학전공 신설
-
1984. 3. 1. 석사과정 미생물학과 신설(43개 학과, 정원 1,030명)
박사과정 독어독문학과, 지구과학과 신설(35개 학과, 정원 375명)
산업대학원 석사과정에 고분자공학전공, 조선공학전공, 전산학 전공 신설 -
1984. 12. 10. 석사과정 (환경대학원)전기공학전공을 전기전자공학전으로 명칭변경
석사과정 (환경대학원)환경학전공을 환경공학전공으로 명칭변경 -
1985. 3. 1. 석사과정 심리학과, 계산통계학과, 치의학과 신설. 정원 20명 증원(46개 학과, 정원 1,050명)
박사과정 불어불문학과, 미생물학과, 전자공학과 신설(38개 학과, 정원 375명)
교육대학원에 유아교육전공, 지리교육전공, 상업교육전공 신설
행정대학원 도시개발학과를 도시계획학과로 명칭변경
행정학과의 이론행정학 전공, 개발행정학 전공, 복지행정학 전공, 정책학 전공 및 도시개발학과의 도시계획학 전공, 부동산학 전공 폐지
산업대학원의 전기공학 전공 → 전기전자공학 전공, 환경학 전공 → 환경공학 전공 명칭변경 -
1987. 3. 1. 박사과정 치의학과 신설. 정원 10명 증원(39개 학과, 정원 385명)
-
1988. 3. 1. 석사과정 회계학과, 기계설계공학과, 환경공학과 신설. 정원 36명 증원(49개 학과, 정원 1,086명)
박사과정 체육학과 신설. 정원 27명 증원(40개 학과, 정원 412명) -
1988. 11. 30. 환경대학원 신설
-
1989. 3. 1. 석사과정 중어중문학과, 도서관정보학고, 해양과학과, 생산기계공학과, 정밀기계공학과, 산업공학과 신설(55개 학과, 정원1,150명)
환경대학원(환경공학과, 환경과학과) 신설
박사과정 심리학과, 전자계산학과, 통계학과 신설(43개 학과, 정원 449명)
석사과정 (환경대학원)환경공학전공 폐지 -
1989. 11. 6. 석사과정 환경대학원(환경계획학과) 신설
-
1990. 3. 1. 석사과정 분자생물학과, 컴퓨터고학과 신설(57개 학과, 정원 1,174명)
박사과정 회계학과, 간호학과, 기계설계공학과 신설(46개 학과, 정원 476명) -
1991. 1. 31. 석사과정 (환경대학원)전기전자공학전공을 전기공학전공, 전자공학전공으로 분리
석사과정 (환경대학원)재료공학전공을 금속공학전공, 무기재료공학전공으로 분리
석사과정 (환경대학원)건설공학전공을 토목공학전공, 건축공학전공으로 분리
석사과정 (환경대학원)고분자공학전공을 섬유공학전공, 고분자공학전공을 분리 -
1991. 3. 1. 석사과정 일어일문학과, 국민윤리학과 신설
계산통계학과를 전자계산학과와 통계학과로 분리, 도서관정보학과를 문헌정보학과로 변경(60개 학과 정원 1,198명)
박사과정 분자생물학과, 생산기계공학과, 정밀기계공학과, 컴퓨터공학과, 환경공학과, 산업공학과 신설(52개 학과 정원 530명) -
1992. 3. 1. 석사과정 정원 첨단 이공계 40명 포함, 70명 증원(60개 학과, 정원 1,268명)
박사과정 정원 첨단 이공계 40명 증원(52개 학과, 570명) -
1993. 3. 1. 석사과정 대기과학과, 항공우주공학과 신설. 정원 60명(이공계) 정원(62개학과 1,328명)
박사과정 문헌정보학과 신설, 정원 40명(이공계 31명, 기타 9명) 증원(53개 학과, 610명)
박사과정 자연계 학ㆍ연 협동연구과정 신설. 정원 9명 증원(53개 학과, 619명) -
1994. 3. 1. 석사과정 도시공학과 신설. 정원 46명(자연계) 증원(63개학과, 1,374명)
박사과정 대기과학과, 국민윤리학과 신설. 정원 30명(자연계 15명, 기타 15명) 증원(55개학과, 649명)
환경대학원(환경계획학과를 도시계획학과로 명칭변경) -
1995. 3. 1. 석사과정 유아교육학과 신설. 학ㆍ연협동연구과정 신설. 학ㆍ산협동연구과정 신설. 정원 175명(인문사회10, 이학55, 공학50, 학연협동 20, 학산협동 40) 증원(64개 학과, 1개 학ㆍ연협동과정, 1개 학ㆍ산협동과정, 1,549명)
환경대학원(환경정보시스템학과) 신설
석사과정 학ㆍ산 협동과정(지능기계시스템전공) 신설
박사과정 정원 75명(이학 45, 공학 20, 학ㆍ연협동 10) 증원 (55개 학과, 1개 학ㆍ연협동과정, 724명) -
1996. 3. 1. 석사과정 무용학과, 학과간 협동과정(분체공학,인지과학, 의공학, 메카트로닉스, 지형정보) 신설. 정원 451명(인문 21, 이학 50, 공학 300, 자연 10, 예ㆍ체능 10, 분체공학 10, 인지과학 10, 의공학 10, 메카트로닉스 10, 지형정보 10, 학ㆍ연협동 10(신발연기5, 생기연5)) 증원.
(65개 학과, 1개 학ㆍ연협동과정, 1개 학ㆍ산협동과정, 5개학과간 협동과정, 2,000명)
박사과정 도시공학과, 항공우주공학과, 학과간 협동과정 (분체과학, 메카트로닉스) 신설. 정원 149명(인문 20, 이학 30, 공학 30, 자연 10, 의학 30, 예능 9, 분체공학 5, 메카트로닉스 5, 학연협동 10(신발연 5, 생기연 5))증원
57개학과, 1개 학ㆍ연협동과정, 2개학과간 협동과정, 873명) -
1996. 5. 1. 대학원 행정조직을 단과대학과 본부 이관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대학원 행정업무 개편
-
1997. 3. 1. 국제대학원 신설
총정원관리 → 입학정원 관리 전환
석사과정 신문방송학과 신설
박사과정 해양과학과 신설,
석사 정원 288명(인문사회계 65명, 자연과학계 83명, 공학계 110명, 의학계 24명, 예체능계 6명)
박사 정원 98명 (인문사회계 12명, 자연과학계 32명, 공학계 45명, 의학계 7명, 예체능계 2명)증원 -
1998. 3. 1. 석사과정 과학기술의 역사와 철학협동과정ㆍ정밀정형협동과정ㆍ청정공학협동과정, 박사과정 중어중문학과, 과학기술의 역사와 철학 협동과정, 정밀정형 협동과정, 청정공학협동과정 신설
석사과정 정원 97명(인문사회계 6명, 자연과학계 21명, 공학계 36명, 의학계 8명, 학과간 협동과정 26명)
박사과정 정원 33명(자연과학계 6명, 공학계 14명, 의학계 3명, 학과간 협동과정 8명, 학연산협동과정 2명) 증원
석ㆍ박사과정 조선공학과를 조선ㆍ해양공학과로 학과 명칭 변경
석사과정 (환경대학원)조선학전공을 조선ㆍ해양공학전공으로 명칭변경 -
1999. 3. 1. 석사과정 한문학과, 고고학과, 사회교육학과, 언어학과, 정보통신협동과정(영상정보공학과, 정보시스템공학과)
박사과정 일어일문학과, 유아교육학과 신설
석사과정 정원 40명(공학계 20명, 학과간협동과정 20명)
박사과정 정원 9명(자연과학계 4명, 공학계 5명) 증원 -
1999. 9. 1. 대졸 미취업자 연구과정 모집과 연계하여 석사과정 정원 7명(인문사회계 3명, 공학계 4명)
박사과정 정원 4명(인문사회계 2명, 공학계 2명) 증원
- 최종수정일 :
- 2021-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