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화학교실
대표전화 : 051-510-8080
FAX : 051-510-8086
교수소개
fnctId=pnuProfl,fnctNo=179
교실소개
교실의 역사
부산대학교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생화학교실은 1955년 부산대학교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이 개교와 동시에 김상태 교수(경성의전)가 초대 주임교수를 역임하며 시작되었다. 6.25이전 평양의전에 근무하던 이형섭이 6.25전쟁으로 부산에 정착하던 중 1955년부터 본교에 조교로 근무하였고 1958년 전임강사로 발령받아 생화학교실에 부임하였다. 이후 김상태 교수는 약리학교실로 옮기고 1960년부터는 이형섭 교수가 주임교수를 맡아 교실을 이끌었다. 이형섭 교수는 1988년 퇴직 시까지 많은 후학을 배출하면서 교실의 양적 질적 성장을 이루었다. Histone에 관한 연구로 학계에서 크게 인정을 받았으며 1982년 대한생화학회장을 역임하며 국내 생화학발전에 이바지 하였다. 1972년에는 정병선이 전임강사가 되어 교실은 새로운 도약을 하게 되었다. 정병선 교수는 활발한 연구활동으로 1992년 과학기술 우수논문상(학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을 수상하였고 1999년 대한생화학분자생물학회장을 역임하였다. 2002년 정병선 교수는 주임교수의 직을 내려놓고 연구와 교육에 집중하였으며 이후 김선희 교수와 강치덕 교수가 차례로 주임교수를 맡아 교실을 이끌어 오고 있다. 1998년 김철민 교수와 2004년 이상률 교수, 2010년 배재호 교수가 차례로 발령을 받아 교실의 역량이 크게 증가되었다. 특히, 김선희 교수와 강치덕 교수는 대한생화학분자생물학회로부터 제1회 및 제2회 최다 피인용 논문상을 각각 수상하여 교실의 연구 역량을 인정받았다. 그 동안 많은 교실 동문들이 배출되었으며, 박영홍(인제의대), 곽종영(동아의대), 박주인(동아의대), 이헌진(경북치전원) 등은 타 대학에서 교수로 근무하고 있다.
2011년 현재 생화학교실은 전임교원은 5명과 2명의 조교, 10여명의 대학원생ㆍ연구원들이 연구에 매진하고 있으며, 양산캠퍼스에 분자세포생물학실험실, 암진단치료연구실, 세포배양실, 방사선동위원소 실험실 등을 갖추고 있다. 생화학교실은 미래의학의 바탕이 되는 기초의학 연구와 임상의학에 중요한 기초지식을 교육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지난 반세기동안 교실을 위해 헌신적으로 일한 교수진과 학생들의 노력으로 오늘날까지 성장하게 되었다.
2011년 현재 생화학교실은 전임교원은 5명과 2명의 조교, 10여명의 대학원생ㆍ연구원들이 연구에 매진하고 있으며, 양산캠퍼스에 분자세포생물학실험실, 암진단치료연구실, 세포배양실, 방사선동위원소 실험실 등을 갖추고 있다. 생화학교실은 미래의학의 바탕이 되는 기초의학 연구와 임상의학에 중요한 기초지식을 교육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지난 반세기동안 교실을 위해 헌신적으로 일한 교수진과 학생들의 노력으로 오늘날까지 성장하게 되었다.
1955 | 생화학교실 발족 초대 주임교수 김상태 교수 |
---|---|
1960 | 제2대 주임교수 이형섭 교수 |
1982 | 이형섭 교수 대한생화학회 회장을 역임 |
1988 | 이형섭 교수 정년퇴임 및 명예교수로 위촉 제3대 주임교수 정병선 교수 |
1999 | 정병선 교수 대한생화학분자생물학회 회장 역임 |
2002 | 제4대 주임교수 김선희 교수 |
2009 | 제5대 주임교수 강치덕 교수 |
2008 | 정병선 교수 정년퇴임 |
교실의 강의 과목 (의전원 의학과, 의전원 의과학과, 대학원 의학과)
의전원 의학과
- 분자세포의학 (Molecular and cellular medicine)
의전원 의과학과
- 분자생물학 (molecular biology)
- 생물정보학 (bioinformatics)
- 세포생물학 (cell biology)
- 유전체 및 단백체의학 (genomics and proteomics)
의전원 의학과
- 단백질화학 (Protein Chemistry)
- 당질대사 (Carbohydrate Metabolism)
- 생물물리화학 (Biophysical Chemistry)
- 생화학연구방법 (Methods in Biochemistry)
- 논문연구 (Thesis Research)
- 아미노산대사 (Amino Acid Metabolism)
- 유전공학 (Genetic Engineering)
- 지질대사 (Lipid Metabolism)
- 세포노화및사망 (Cellular Aging and Death)
- 세포신호전달 (Cellular Signal Transduction)
- 인체분자유전학 (Human Molecular Genetics)
- 종양분자생물학 (Cancer Molecular Biology)
- 영양생화학 (Nutritional Biochemisty)
- 핵산대사 (Nucleic Acid Metabolism)
- 호르몬작용 (Hormonal Function)
- 효소학 (Enzymology)
- 생명의료정보학 (Biomedical Informatics)
- 유전체학 (Genomics)
- 전사체학 (Transcriptomics)
- 단백체학 (Proteomics)
- 대사체학 (Metabolomics)
교실의 연구 분야
생화학교실에서는 postgenome 시대를 맞이하여 genomics, proteomics 및 bioinformatics 등의 연구 방법을 이용하여, 항암제 및 방사선치료에 대한 암세포의 세포사멸(apoptosis)내성 기전 연구를 통하여 기존의 항암치료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내성극복방법을 찾는 한편, 새로운 종양항원 탐색을 통한 종양 특이 암면역요법 및 자연살상세포를 이용한 암면역요법을 개발함으로써 치료내성 전이암을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chemoradioimmunotherapy를 개발하고 있다. 한편 인간 유전질환 및 병원 미생물 유전체 연구를 통하여 암을 포함한 질병의 진단기법을 개발하고 있다.
김선희 교수는 1990년에서 1991년까지 동경대학 의과학 연구소에서 객원연구원으로 연수 후 귀국하여 항암제 다제내성(MDR) 유전자의 발현조절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다수의 우수한 논문을 국제 학술지에 발표하였다. 1997년에서 1998년까지 미국 NorthWestern University 및 SloanKettering Cancer Center에서 연수하면서 항암제에 의한 암세포의 apoptosis 과정에서 Heat Shock Factor 및 Ku autoantigen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고, 여기에서 얻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암세포의 항암제 내성 극복에 대한 연구를 더욱 깊이 수행하고 있다. 연구업적은 Cancer Research, Oncogene 등의 우수국제학술지에 많이 발표하였다.
강치덕 교수는 만성골수성백혈병세포의 분화기전에 관한 연구를 하다가 1993년부터 1994년까지 미국 Harvard Medical School의 Danna-Farber Cancer Institute에서 방문연구원으로 연수한 후, 만성 골수성 백혈병세포의 거핵세포성 분화 과정에 있어서 Nuclear Factor-Kappa B의 관련성을 처음으로 밝혀 제9회(1999년) 과학기술우수논문상을 수상하였으며, 최근 수지상세포와 자연살상세포를 이용한 암 면역치료에 집중적으로 노력을 기울여 새로운 치료법을 개발하고 있다.
김철민 교수는 바이오벤처기업과 손을 잡고 실험실에서의 연구 결과를 상품화하여 결핵 진단 키트를 개발하였으며, 고부가가치 생물산업 창출을 위한 유전체(genome) 연구 기반 구축과 지역 산업과 연계한 생물산업 연구주제 발굴·기획 및 기초 연구로 biotechnology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이상률 교수는 미국 LUDWIG INSTITUTE FOR CANCER RESEARCH와 Memorial SloanKettering Cancer Center의 인간면역유전학 실험실에서 오랫동안 분자생물학과 암면역학을 연구하였으며, 2004년에 생화학교실에 발령을 받은 이후에도 국제공동연구를 지속하면서 SEREX법을 이용하여 다수의 종양 항원들을 발견하여 지속적으로 발표하고 있다.
배재호 교수는 자연살상세포를 이용한 암면역치료를 지속적으로 연구해오고 있으며 임상의와 공동연구를 통하여 임상적용이 가능한 치료법개발에 힘을 쏟고 있다.
향후 본 교실은 기초연구뿐만 아니라, 임상의와의 공동연구를 통하여 앞으로 질병의 진단 및 치료에 응용될 수 있는 기술들을 개발하는데 노력을 기울임으로써 지금까지 실험실에서 그치던 연구보다는 환자에게 임상적으로 곧 적용할 수 있는 연구에 치중할 계획이다.
김선희 교수는 1990년에서 1991년까지 동경대학 의과학 연구소에서 객원연구원으로 연수 후 귀국하여 항암제 다제내성(MDR) 유전자의 발현조절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다수의 우수한 논문을 국제 학술지에 발표하였다. 1997년에서 1998년까지 미국 NorthWestern University 및 SloanKettering Cancer Center에서 연수하면서 항암제에 의한 암세포의 apoptosis 과정에서 Heat Shock Factor 및 Ku autoantigen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고, 여기에서 얻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암세포의 항암제 내성 극복에 대한 연구를 더욱 깊이 수행하고 있다. 연구업적은 Cancer Research, Oncogene 등의 우수국제학술지에 많이 발표하였다.
강치덕 교수는 만성골수성백혈병세포의 분화기전에 관한 연구를 하다가 1993년부터 1994년까지 미국 Harvard Medical School의 Danna-Farber Cancer Institute에서 방문연구원으로 연수한 후, 만성 골수성 백혈병세포의 거핵세포성 분화 과정에 있어서 Nuclear Factor-Kappa B의 관련성을 처음으로 밝혀 제9회(1999년) 과학기술우수논문상을 수상하였으며, 최근 수지상세포와 자연살상세포를 이용한 암 면역치료에 집중적으로 노력을 기울여 새로운 치료법을 개발하고 있다.
김철민 교수는 바이오벤처기업과 손을 잡고 실험실에서의 연구 결과를 상품화하여 결핵 진단 키트를 개발하였으며, 고부가가치 생물산업 창출을 위한 유전체(genome) 연구 기반 구축과 지역 산업과 연계한 생물산업 연구주제 발굴·기획 및 기초 연구로 biotechnology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이상률 교수는 미국 LUDWIG INSTITUTE FOR CANCER RESEARCH와 Memorial SloanKettering Cancer Center의 인간면역유전학 실험실에서 오랫동안 분자생물학과 암면역학을 연구하였으며, 2004년에 생화학교실에 발령을 받은 이후에도 국제공동연구를 지속하면서 SEREX법을 이용하여 다수의 종양 항원들을 발견하여 지속적으로 발표하고 있다.
배재호 교수는 자연살상세포를 이용한 암면역치료를 지속적으로 연구해오고 있으며 임상의와 공동연구를 통하여 임상적용이 가능한 치료법개발에 힘을 쏟고 있다.
향후 본 교실은 기초연구뿐만 아니라, 임상의와의 공동연구를 통하여 앞으로 질병의 진단 및 치료에 응용될 수 있는 기술들을 개발하는데 노력을 기울임으로써 지금까지 실험실에서 그치던 연구보다는 환자에게 임상적으로 곧 적용할 수 있는 연구에 치중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