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활의학교실
대표전화 : 051-240-7485
FAX : 051-247-7485
교수소개
fnctId=pnuProfl,fnctNo=209
교실소개
교실의 역사
부산대학교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재활의학과의 역사는 1988 년 3 학년 1 학기부터 당시 고신의대에 재직 중이던 고현윤 교수에 의해 부산의대에서 재활의학과 강좌가 개설되면서 시작되었다. 1993 년 8 월에는 고신의대에 재직하고 있던 고현윤 교수가 부산의대 정형외과학교실 조교수로 발령받아 재활의학과 부분을 맡게 되었고, 9 월 23 일 병원 내 재활의학과 외래진료를 개시하였다. 1994 년 1 월 3 일 부산대학교병원에 재활의학과 전공의 수련과정이 개설되었고, 1995 년 3 월부터 재활의학교실이 정형외과학교실로부터 분리되어 새로 개설되어 고현윤 교수가 재활의학교실 초대 주임교수로 임명되었으며, 1993 년 8 월에는 박병규 교수가 임상교수 요원 ( 전임강사 ) 으로 임용되어 2006 년까지 근무 후 퇴사하였다. 2008 년 3 월에 신용범 교수가 겸직임용되어 부산대학교병원에서 근무를 하고 있으며 2010 년 3 월에 신용일 교수와 이창형 교수가 신규 임용되어 양산부산대학교병원에서 근무하고 있다. 2012 년 5 월 장재혁 교수가 기금조교수로 발령받아 부산대학교병원에서 근무하고 있으며 2015 년 3 월 1 일 신명준 교수가 기금조교수로 신규 임용되어 부산대학교병원에서 근무하고 있다.
2008 년부터 부산과 양산의 양 병원 체제로 바뀌면서 양산부산대학교병원에는 고현윤, 신용일, 이창형, 김수연, 고성화, 구본일교수가, 부산대학교병원에는 신용범, 장재혁, 신명준,윤진아, 이제상, 이병주 교수가 근무하고 있다.
고현윤 교수는 척수손상과 척추중재치료 등을 세부전공으로 하면서 1996 년에는 미국의 Thomas Jefferson University Hospital, 2007 년에는 영국 Midlands Centre for Spinal Injuries 등에서 교환교수로 재직하였다. 근육병 환우와 가족들의 진료 및 정보 교류를 위한 ‘ 잔디회’에서 무료 진료를 하고 있다. 특히 2001 년에는 동아일보에서 선정한 재활의학 베스트 중견 의사 1 위, 2010 년 EBS ‘ 명의 ’ 에 선정되는 등 대외적으로도 교실의 위상을 더욱 높이고 있다. 또한 2003 년 대한재활의학회 고시위원장, 2009 년 대한임상통증학회 회장, ISCoS 부회장, 2010 년 대한척수손상학회 회장, 이후 대한노인재활의학회장 등의 학회 활동을 하였다. 2013 년 12 월 16 일 의학한림원 정회원에 선출되었다.
신용범 교수는 소아재활및호흡재활을세부전공으로하고있으며, 2011 년 9 월 1 일부터 2013 년 1 월 26 일까지미국 University of California at San Francisco 에서교환교수로재직하였다. 아이들의집, 소화영아재활원, 성프란체스카의 집등에서 무료진료를 시행하고 있으며 현재 대한재활의학회수련교육위원회 간사, 대한심장호흡재활의학회 홍보이사, 대한소아재활의학회 기획홍보이사 등을맡고있으며 지역에서도 부산울산경남소아재활연구회를 창립하여 교육 및 연구활동을 하고 있다.
신용일 교수는 뇌신경재활을 세부 전공으로 하고 있으며 2010 년 3 월 1 일부터 우리교실에 재직하고 있다. 2011 년부터 2014 년 2 월까지 제 3 대 주임교수 직무를 수행하였으며,2014 년 2 월부터 2014 년 12 월까지 독일 Gottingen University Medical Center 의 신경생리학교실에서 교환교수로 재직하였다. 2012 년부터 2014 년까지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기획실장, 같은 기간동안 양산부산대학교병원 임상시험심사위원회 (IRB) 위원장으로 봉사하였으며, 대한뇌신경재활학회와대한신경조절학회이사, 연구재단 의약학단 전문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울산장애인종합복지관의 무료진료와 재가장애인 방문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뇌신경재활관련 의료기기 개발 및 재활정책, 로봇재활치료에 대한 다양한 국책연구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이창형 교수는 스포츠의학, 근골격계 통증재활을 세부 전공으로 미국 Stanford Univesity 에서 research fellow 와 삼성서울병원에서 임상교수로 근무하였다. 스포츠 의학 부문에서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으며 대한체육회 태릉선수촌 의무실장 등을 역임한 바 있다. 대한재활의학회 학술위원 및 대한스포츠의학회 이사를 맡아 대학원생 및 전공의 교육과 연구 등에서 두드러진 활동을 하고 있다.
장재혁 교수는 외상성뇌손상재활 및 근골격계재활을 세부 전공으로 하고 있으며, 대한뇌신경재활학회 및 대한임상통증학회 학술위원으로 활동 중이며 2013 년 제 22 회 소피아 농아인 올림픽 국가대표 팀닥터로 참여하였다.
신명준 교수는 심폐재활, 수부 및 족부재활을 세부 전공으로 하고 있으며 2014 년 3 월 캐나다의 Mazankowski Alberta Heart Institute 에서 심장호흡재활에 대해 연수하였다. 2012 년 뇌졸중 재활치료 한국형 표준진료지침을 만드는 데 참여하였고 다수의 우수 구연상을 수상하였다.
부산대학교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이 발전하면서 재활의학교실도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었다. 1997 년도 재활의학과 외래 내원 환자수는 22,691 명에서 2016 년에는 68,526 명으로 입원 연환자수는 4,773 명에서 17,152 명으로 두 배 이상의 괄목할 만한 성과를 내었다. 전기진단, 비디오투시 삼킴검사, 요역동학 검사, 적외선 체열 촬영, 중재적 척추시술 및 초음파 영상 진단 등의 검사와 처치가 매년 증가 추세에 있다. 2008 년 말 양산부산대학교병원이 개원하고, 2011 년에 재활병원에서 진료를 한 짧은 기간에도 불구하고 양산부산대학교병원은 연 48,854 명의 외래환자와 연 31,431 명의 입원환자를 진료하고 있다.
2016 년까지 총 164 편의 국내학술지와 75 편의 국제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하여 재활의학의 발전에 큰 이바지를 하고 있으며, 10 명의 박사와 44 명의 석사와 총 40 명의 전문의를 배출하여 전국 각지에서 활발한 진료 활동을 펼치도록 하고 있다. 총 12 명의 교수와 3 명의 전임의, 12 명의 전공의들이 재활의학의 각 분야별로 진료와 연구 활동에 힘쓰고 있으며 더 나은 교실의 발전을 위해 오늘도 노력하고 있다.
2008 년부터 부산과 양산의 양 병원 체제로 바뀌면서 양산부산대학교병원에는 고현윤, 신용일, 이창형, 김수연, 고성화, 구본일교수가, 부산대학교병원에는 신용범, 장재혁, 신명준,윤진아, 이제상, 이병주 교수가 근무하고 있다.
고현윤 교수는 척수손상과 척추중재치료 등을 세부전공으로 하면서 1996 년에는 미국의 Thomas Jefferson University Hospital, 2007 년에는 영국 Midlands Centre for Spinal Injuries 등에서 교환교수로 재직하였다. 근육병 환우와 가족들의 진료 및 정보 교류를 위한 ‘ 잔디회’에서 무료 진료를 하고 있다. 특히 2001 년에는 동아일보에서 선정한 재활의학 베스트 중견 의사 1 위, 2010 년 EBS ‘ 명의 ’ 에 선정되는 등 대외적으로도 교실의 위상을 더욱 높이고 있다. 또한 2003 년 대한재활의학회 고시위원장, 2009 년 대한임상통증학회 회장, ISCoS 부회장, 2010 년 대한척수손상학회 회장, 이후 대한노인재활의학회장 등의 학회 활동을 하였다. 2013 년 12 월 16 일 의학한림원 정회원에 선출되었다.
신용범 교수는 소아재활및호흡재활을세부전공으로하고있으며, 2011 년 9 월 1 일부터 2013 년 1 월 26 일까지미국 University of California at San Francisco 에서교환교수로재직하였다. 아이들의집, 소화영아재활원, 성프란체스카의 집등에서 무료진료를 시행하고 있으며 현재 대한재활의학회수련교육위원회 간사, 대한심장호흡재활의학회 홍보이사, 대한소아재활의학회 기획홍보이사 등을맡고있으며 지역에서도 부산울산경남소아재활연구회를 창립하여 교육 및 연구활동을 하고 있다.
신용일 교수는 뇌신경재활을 세부 전공으로 하고 있으며 2010 년 3 월 1 일부터 우리교실에 재직하고 있다. 2011 년부터 2014 년 2 월까지 제 3 대 주임교수 직무를 수행하였으며,2014 년 2 월부터 2014 년 12 월까지 독일 Gottingen University Medical Center 의 신경생리학교실에서 교환교수로 재직하였다. 2012 년부터 2014 년까지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기획실장, 같은 기간동안 양산부산대학교병원 임상시험심사위원회 (IRB) 위원장으로 봉사하였으며, 대한뇌신경재활학회와대한신경조절학회이사, 연구재단 의약학단 전문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울산장애인종합복지관의 무료진료와 재가장애인 방문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뇌신경재활관련 의료기기 개발 및 재활정책, 로봇재활치료에 대한 다양한 국책연구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이창형 교수는 스포츠의학, 근골격계 통증재활을 세부 전공으로 미국 Stanford Univesity 에서 research fellow 와 삼성서울병원에서 임상교수로 근무하였다. 스포츠 의학 부문에서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으며 대한체육회 태릉선수촌 의무실장 등을 역임한 바 있다. 대한재활의학회 학술위원 및 대한스포츠의학회 이사를 맡아 대학원생 및 전공의 교육과 연구 등에서 두드러진 활동을 하고 있다.
장재혁 교수는 외상성뇌손상재활 및 근골격계재활을 세부 전공으로 하고 있으며, 대한뇌신경재활학회 및 대한임상통증학회 학술위원으로 활동 중이며 2013 년 제 22 회 소피아 농아인 올림픽 국가대표 팀닥터로 참여하였다.
신명준 교수는 심폐재활, 수부 및 족부재활을 세부 전공으로 하고 있으며 2014 년 3 월 캐나다의 Mazankowski Alberta Heart Institute 에서 심장호흡재활에 대해 연수하였다. 2012 년 뇌졸중 재활치료 한국형 표준진료지침을 만드는 데 참여하였고 다수의 우수 구연상을 수상하였다.
부산대학교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이 발전하면서 재활의학교실도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었다. 1997 년도 재활의학과 외래 내원 환자수는 22,691 명에서 2016 년에는 68,526 명으로 입원 연환자수는 4,773 명에서 17,152 명으로 두 배 이상의 괄목할 만한 성과를 내었다. 전기진단, 비디오투시 삼킴검사, 요역동학 검사, 적외선 체열 촬영, 중재적 척추시술 및 초음파 영상 진단 등의 검사와 처치가 매년 증가 추세에 있다. 2008 년 말 양산부산대학교병원이 개원하고, 2011 년에 재활병원에서 진료를 한 짧은 기간에도 불구하고 양산부산대학교병원은 연 48,854 명의 외래환자와 연 31,431 명의 입원환자를 진료하고 있다.
2016 년까지 총 164 편의 국내학술지와 75 편의 국제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하여 재활의학의 발전에 큰 이바지를 하고 있으며, 10 명의 박사와 44 명의 석사와 총 40 명의 전문의를 배출하여 전국 각지에서 활발한 진료 활동을 펼치도록 하고 있다. 총 12 명의 교수와 3 명의 전임의, 12 명의 전공의들이 재활의학의 각 분야별로 진료와 연구 활동에 힘쓰고 있으며 더 나은 교실의 발전을 위해 오늘도 노력하고 있다.
교실의 강의 과목
1) 학생 교육
1988 년도부터 의학과 3 학년을 대상으로 주 1 시간씩 1 학기 동안 ( 학점 1 점 ) 으로 시행되었다. 현재는 통합강의를 시행하여 1, 2 학년을 대상으로 ' 신경과 정신 ', ' 호흡기학 ', ' 근골격계 질환 ' 등의 단위별 수업에서 재활의학 부분을 맡아 강의하고 있다. 강의 내용은 재활의학의 개요, 척수손상의 재활, 뇌졸중 및 뇌손상의 재활, 뇌성마비 및 소아재활, 근골격계 통증재활, 스포츠재활, 호흡재활, 전기진단 등으로 구성된다. 재활의학과 임상실습은 1998 년 11 월부터 시행되고 있는데 현재 3 학년 1 학기부터 4 학년 1 학기까지 2 주간 실시되고 있다
2) 전공의 교육
전공의 교육은 대한재활의학회에서 마련한 수련 기준에 의하여 실시되고 있다. 진료 관련 업무 이외에 grand round, journal club, 근전도 conference, seminar, text book reading 등을 정기적으로 시행하고 있으며 전체적인 team lecture 및 격주 staff lecture 를 통하여 전공의 교육을 하고 있다.
3) 재활전문팀 교육
의료진, 물리치료사, 작업치료사, 언어치료사, 재활전문간호사, 임상병리사, 병동 및 외래 간호사, 상처간호사, social worker, 간병인 등을 대상으로 하여 월 2 회 이상 재활치료의 기본 개념과 각 파트별 치료법 및 관리법에 대해 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이를 통해 각 파트별 치료 내용을 이해하여 다직종의 팀접근 재활치료가 가능하도록 교육하고 있다.
1988 년도부터 의학과 3 학년을 대상으로 주 1 시간씩 1 학기 동안 ( 학점 1 점 ) 으로 시행되었다. 현재는 통합강의를 시행하여 1, 2 학년을 대상으로 ' 신경과 정신 ', ' 호흡기학 ', ' 근골격계 질환 ' 등의 단위별 수업에서 재활의학 부분을 맡아 강의하고 있다. 강의 내용은 재활의학의 개요, 척수손상의 재활, 뇌졸중 및 뇌손상의 재활, 뇌성마비 및 소아재활, 근골격계 통증재활, 스포츠재활, 호흡재활, 전기진단 등으로 구성된다. 재활의학과 임상실습은 1998 년 11 월부터 시행되고 있는데 현재 3 학년 1 학기부터 4 학년 1 학기까지 2 주간 실시되고 있다
2) 전공의 교육
전공의 교육은 대한재활의학회에서 마련한 수련 기준에 의하여 실시되고 있다. 진료 관련 업무 이외에 grand round, journal club, 근전도 conference, seminar, text book reading 등을 정기적으로 시행하고 있으며 전체적인 team lecture 및 격주 staff lecture 를 통하여 전공의 교육을 하고 있다.
3) 재활전문팀 교육
의료진, 물리치료사, 작업치료사, 언어치료사, 재활전문간호사, 임상병리사, 병동 및 외래 간호사, 상처간호사, social worker, 간병인 등을 대상으로 하여 월 2 회 이상 재활치료의 기본 개념과 각 파트별 치료법 및 관리법에 대해 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이를 통해 각 파트별 치료 내용을 이해하여 다직종의 팀접근 재활치료가 가능하도록 교육하고 있다.
교실의 연구 분야
재활의학과가 개설된 이후"척추 및 척수손상 재활","중재적 재활치료 및 기초 연구""뇌졸중 재활","전기진단","외상성 뇌손상 재활","근골격계 재활","소아재활"등으로 구분되어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cadaver study 및 동물실험을 통하여 임상에 접목할 수 있는 기초과학적인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대한재활의학회가 1972 년 창설된 이후 고현윤 교수는 현재 국제척수손상학회 부회장, 대한척수손상학회 학회장, 대한재활의학회, 대한근전도학회, 대한임상통증학회, 대한노인재활의학회 등에서 회장 등을 역임하였으며 척수손상에 대한 기초 및 임상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신용범 교수는 대한소아재활발달의학회 및 대한심장호흡재활의학회 이사를 맡고 있으며, 뇌성마비 및 근육병, 운동신경원성 질환에 대한 기초연구, 임상연구를 시행하고 있다. 신용일 교수는 대한뇌신경재활의학회, 대한노인재활의학회에서 이사를 맡고 있으며, 뇌신경조절 침습적 및 비침습적 전기자극 치료에 대한 기초연구, 임상연구, 의료기기 개발연구 활동과 재활의료정책과 관련된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 이창형 교수는 대한통증연구학회에서 이사를 맡고 있고, 대한재활의학회, 대한신경근골격계초음파학회, 대한임상통증의학회에서 학술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근골격계손상 재활분야에서 기초연구 및 임상연구를 시행하고 있다. 장재혁 교수는 외상성 뇌손상, 근골격계 질환의 중재적 시술분야에서 기초연구 및 임상연구를 시행하고 있다.신명준 교수는 심폐재활, 수부 및 족부재활의 분야에서 기초연구 및 임상연구를 시행하고 있다.
신용범 교수는 대한소아재활발달의학회 및 대한심장호흡재활의학회 이사를 맡고 있으며, 뇌성마비 및 근육병, 운동신경원성 질환에 대한 기초연구, 임상연구를 시행하고 있다. 신용일 교수는 대한뇌신경재활의학회, 대한노인재활의학회에서 이사를 맡고 있으며, 뇌신경조절 침습적 및 비침습적 전기자극 치료에 대한 기초연구, 임상연구, 의료기기 개발연구 활동과 재활의료정책과 관련된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 이창형 교수는 대한통증연구학회에서 이사를 맡고 있고, 대한재활의학회, 대한신경근골격계초음파학회, 대한임상통증의학회에서 학술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근골격계손상 재활분야에서 기초연구 및 임상연구를 시행하고 있다. 장재혁 교수는 외상성 뇌손상, 근골격계 질환의 중재적 시술분야에서 기초연구 및 임상연구를 시행하고 있다.신명준 교수는 심폐재활, 수부 및 족부재활의 분야에서 기초연구 및 임상연구를 시행하고 있다.